ⓒ Seungmin Jeon


Located at the foot of Mountain Jiri, the land is facing the valley in the front while surrounded by the mountains and tea plantation in the back. Such environmental condition is optimal for residents to feel the change of season. The key architectural question we wanted to address was how we can utilize 4-meter’s distance between the land and the surrounding nature. Unlike structures that shout out their presence, this house needs to blend in to the surrounding nature as if it was part of the rustic environment from the beginning. Therefore, the outer structure of the building is designed so that it looks as small as it can. Since the client had a specific request for the physical dimensions, downsizing the structure itself was not an option. 


ⓒ Seungmin Jeon


However, our design delivers the impression of smaller presence via simple mass composition and dual material facade on the 1st and 2nd floor. Facade material for the 1st floor is concrete bricks, and that of 2nd floor is stolid K and StoColor Lotusan Paint. To endow a sense of unity on the 2nd floor, we reviewed a handful of suppliers and decided to use Sto’s product; this material was used to finish the roof as well. 


ⓒ Seungmin Jeon


A subtle detail here is that the bead material used for outer finishing was also applied on the eaves, corners, window frames to minimize pollution. Note that living room and kitchen are located on the second floor so that the residents and guests can enjoy the breathtaking view of the tea plantation. Each end of the living room has 7-meter windows that serve as the picture frame that contains ever changing view of the nature. Outdoor deck enriches activities that take place in the living room and provides a channel of communication with the front yard. Tea room is disconnected from the living room. 


ⓒ Seungmin Jeon


In order to enter the tea room, one must open the window and get past the outdoor deck. We figured such minor inconvenience in traffic line to the tea room was acceptable. The client agreed with our decision as well. Considering that the theme of the house is slow living, tea room must be the space where slowness is considered luxury than boredom. Snowflakes and raindrops on one’s way to the tea room will help the visitor appreciate the warmth and leisure inside the tea room. 


ⓒ Seungmin Jeon


First floor mostly consists of bedrooms. While living room’s focus is on the space’s relationship with the tea plantation, bedroom spaces’ focus is on the space’s relationship with night sky. Since Hadong Province is famous for its clean air which is commercially available as bottled air, Hadong’s clean night sky boasts its beautiful stars incomparable to other regions. Surrounding landscape is included as part of the architectural design. Because the house is mostly linear and rigid in structure, we wanted to neutralize the rigidity with voluminous curves on the front yard. 


ⓒ Seungmin Jeon


The wall that draws the border between the house and the surrounding is made of rocks and stones recovered from the foundation work. Being the first tea plantation site of Korea, Hadong Province has unique soil that provides optimal conditions for tea leaves to grow. Therefore, Hadong’s rocks carry unique identity and history of the place. By utilizing these rocks, we wanted the wall to reflect the region’s history and change of time.


ⓒ Seungmin Jeon


월계재(月谿齋)

대지는 지리산 끝자락에 위치하여 전면으로는 계곡과 후면으로는 야생 녹차밭이 보이며 산으로 둘러싸여 있어, 시간에 따른 계절의 변화를 느끼기에 최적화된 곳이다. 이러한 자연환경과 대지 내 존재하는 4m의 단 차이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가 설계의 화두였다. 어떻게든 자신의 위치를 나타내려 하는 여타의 건물들과는 다르게 이곳 대지에서는 자연요소 안의 일부분인 듯 자리 잡고 싶었다. 그렇기에 건축물의 외관은 최대한 작아 보이고자 하였다. 


ⓒ Seungmin Jeon


물론 건축주의 물리적인 요구 면적이 있었으므로 체적은 줄이 수 없었으나 단순한 매스 구성과 지상 1, 2층의 이질적인 입면 재료 사용으로 눈에 띄는 건물의 단위를 줄이고자 하였다. 그렇게 선택된 입면 재료는 1층 콘크리트벽돌과 2층 독일 회사의 외단열시스템(stolit K + StoColor Lotusan Paint)이었다. 하나의 덩어리로 보이고자 하였던 2층은 그 모습을 구현하기 위해 많은 업체의 미팅을 거친 결과 독일 회사의 제품으로 결정되었으며 지붕까지 일체된 마감으로 사용하였다. 


ⓒ Seungmin Jeon


눈에 띄는 디테일은 아니지만 각 처마, 모서리, 창 주변 등 모든 부분은 외장재와 일체화된 비드 사용으로 오염도를 최소화하였다. 주요 생활공간인 거실과 주방을 2층으로 구성한 것은 대지 뒤편 녹차밭의 조망을 최대한 확보하고 가족과 손님 모두가 누릴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거실 양쪽 약 7m의 넓은 창은 우리에게 계절의 변화에 따른 자연을 감상할 수 있도록 액자를 제공한다. 매스의 어긋남으로 만들어진 옥외 데크는 2층 거실 공간의 활용을 더욱 풍부하게 해주는 역할을 하며 마당과의 소통을 만들어 준다. 다실은 거실에서 실내 동선이 연결되지 않는다. 창문을 열고 나가 외부 데크를 지나 별채인 다실로 들어가게 된다. 


ⓒ Seungmin Jeon


다실만큼은 불편해도 된다고 생각했다. 이곳 주택의 공간이 그렇지만 특히 다실은 속도가 주가 되는 공간이 아니다. 느림이 지루함이 아닌 여유로 다가오는 공간이어야 한다고 생각 한다. 지상 1층 공간은 침실이 주가 되는 곳이다. 거실 공간이 녹차밭과의 관계성에 주목하였다면 침실 공간은 의도된 창으로 보이는 밤하늘과의 관계에 중점을 두었다. 하동은 군에서 공기를 채집하여 판매할 만큼 청정지역이다. 그렇기에 밤하늘에 펼쳐지는 별들을 다른 어느 곳보다 아름다운 모습으로 다가온다. 


ⓒ Seungmin Jeon


조경 역시 건축의 한 부분으로 계획하였다. 건물의 구성이 자로 잰 듯 반듯하게 잘라 놓은 모습을 하고 있기에 그 모습을 약간은 유하게 만들어줄 장치로 마당의 선형을 전체적인 볼륨감을 갖는 곡선으로 계획하여 하였다. 대지를 구분 짓는 담장은 터파기 및 대지 조성 작업 시 나온 돌로 만들었다. 녹차가 처음으로 재배되고 지금까지 삶의 한 부분으로 자리 잡고 있는 하동은 이 대지가 가지고 있는 특성 때문이기에 그 특성이 고스란히 녹아 있는 땅속 돌을 활용하여 담장을 만들어 줌으로써 지역의 정취와 세월의 흐름을 느끼게 해주고자 하였다.


MASS DIAGRAM


ELEVATION


SECTION


SECTION DETAIL


FLOOR PLAN




Architect ILSANG ARCHITECTS

Location Hwagae-myeon, Hadong-gun, Gyeongsangnam-do, Republic of Korea 

Program Detached house 

Site area 1,597.00㎡

Building area 226.49㎡

Gross floor area 302.82㎡

Building scope 2F 

Building to land ratio 14.18% 

Floor area ratio 18.96% 

Project architect Kim Hun, Jungin Choi 

Structrue Reinforced concrete

Photographer Seungmin Jeon



해당 프로젝트는 건축문화 2018년 9월호(Vol. 448)에 게재 되었습니다.

The project was published in the Sep, 2018 issue of the magazine(Vol. 448).




'Architecture Project > Single Family' 카테고리의 다른 글

Issa Megaron  (0) 2019.01.16
House W  (0) 2018.11.06
BOUGAINVILLEA HOUSE  (0) 2018.10.31
Ha-DAM House  (0) 2018.09.17
Bukhansan(Mt.) Courtyard House  (0) 2018.09.14


마실와이드 | 등록번호 : 서울, 아03630 | 등록일자 : 2015년 03월 11일 | 마실와이드 | 발행ㆍ편집인 : 김명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지희 | 발행소 :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로8길 45-8 1층 | 발행일자 : 매일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