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oject is a reinterpretation of auto repair shop which is commonly called ‘car center’, and it suggests a new typology for vertical repair shops which are needed in crowded urban districts. Conventional car centers often remind of a scenery in which everything is jumbled and piled up in disorder; carelessly scattered tools, grease marks and all sorts of machines which are trespassing even on the pedestrian path after having filled up the entire garage. However, to catch up with the current trend in which car culture develops and import car market expands, auto repair shops are also trying to achieve the integration, extension and advancement of technology. Under the circumstances, repair shop architecture was in want of an appropriate, professional and high-end image to wipe out its traditional sandwich panel factory image, also the client was seeking an extended facility and space equipped with everything about car repairing.

Proposed by the client in the early stage of design, the program was rather unique. It suggested to pile up garage spaces in the form of an office building. When other car centers in cities appear to be like small dots due to high land price, this idea of extending car center in a vertical way would enable constructing a large-scale garage offering one-stop repair service on a pricy main spot in downtown(the site is close to Gwangalli Beach). In this respect, it became an essential foundation for this project. 



The floor plan consists of a garage space with 8 parking bays in a perpendicular arrangement as well as a vertical circulation embracing a staircase and a vehicle elevator. The site itself had a L-shape, and by a happy coincidence, the floor area was just large enough to contain all required programs. Therefore, the floor plan was designed to follow the site shape. The vertical area is filled with a car repair space and relevant machines. Especially, the painting work booth and sanding room are coupled as a packaged area. The architect felt some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and applying their operation principles and functions to the design. Covering from machine positioning, securing drainage and embedding space for unfamiliar machines, making holes in slabs to accommodate the machines to bending beams, the structure design was quite tricky, thus a close collaboration with machine manufacturers was required during the design process. For the exterior, considering the limited construction budget, only the front road area is selectively highlighted, the design of side and rear areas are focusing solely on functionality. Ultimately, these are conceived to deliver a maximum design effect with a not very higher cost compared to other sandwich panel factories.



 Architect and professor Pyo Eung-Seok says that for a factory building, such design could be implemented just because he met a client who understands the importance of architectural design and the impact of it. The project introduces a new type of architecture, namely urban vertical garage, and testifies that it’s possible for factory architecture to get away from its previous monotonous image and create a modern landscape corresponding to its surrounding urban context.



이 프로젝트는 흔히 카센터로 불리는 자동차 정비공장을 새롭게 해석하여, 복잡한 도심 내에 필요한 수직형 정비공장의 유형을 보여주는 건축물이다. 기존의‘ 카센터’하면 어지러이 놓인 공구, 작업장 내부로도 모자라서 보도블록을 일부 점유하고 있는 각종 기계들, 기름자국 등 무질서하고 무언가 잔뜩 늘어놓고 쌓여있는 모습이 연상되기 십상이다. 하지만 자동차 문화가 고급화되고 수입차 시장도 보편화되는 시대적 흐름에 맞춰서 자동차 정비공장 또한 기술의 집약화 및 대형화, 고급화의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정비소 건축 또한 기존의 샌드위치 패널 공장건물 이미지를 탈피하여 용도에 걸맞는 전문성 및 고급화된 이미지가 필요한 상황이었고 자동차 정비의 모든 것을 집약시키는 대형화된 시설 및 공간을 건축주도 필요로 하고 있었다. 설계초반 건축주가 제시한 프로그램은 다소 생소한 개념이었는데, 이는 자동차 정비공간을 적층화시켜서 오피스 빌딩처럼 만들자는 것이었다. 기존의 도심 내 카센터들이 높은 지가로 인하여 소형화된 점조직일 수밖에 없는 상황인 것을 고려하면, 공장기능을 수직적으로 확장시키는 개념은 지가가 높은 도심의 주요지점(광안리 해변 인근에 위치)에서도 원스톱 공정처리가 가능한 대형 자동차 정비공간의 창출이 가능하다는 면에서 이 프로젝트의 매우 핵심적인 아이디어가 되었다.



평면구성은 자동차 8대가 직각주차형태로 수용되는 정비공간 부분과 계단 및 자동차엘리베이터로 구성되는 수직동선 부분으로 이루어졌다. 대지가‘ ㄴ’자 형태이기도 하고 우연의 일치로 면적 또한 각 프로그램에 딱맞는 상황이어서 대지의 형상에 의해 건물의 평면형태가 결정되었다. 수직공간은 자동차 정비에 필요한 공간 및 기계들로 구성되는데, 특히 도장부스 및 샌드룸은 패키지형태로서 건축가의 입장에서는 그 작동원리 및 기능을 파악하고 설계에 적용시키는데 다소 어려움이 있었다고 한다. 특히 기계배치 및 배수공간확보, 생소한 기계의 매립공간확보 등을 위해 슬래브를 기계에 맞춰 천공을 하고 보를 꺾어야 하는 등 구조 설계과정이 다소 까다로워서 기계제작업체와의 긴밀한 협의가 필요한 과정이 있었다. 외장디자인은 한정된 공사비를 감안하여 전면도로부분만 선택적으로 중점을 두었고, 측면부와 후면부는 기능에 충실한 디자인으로 계획되었다. 결과적으로 일반적인 샌드위치 패널 공장에 비해 그리 높지 않은 시공비로서 최대한의 디자인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공장 건물이라 하더라도 건축 디자인의 중요성을 인정하고 디자인의 파급효과 등을 이해할 수 있는 건축주를 만났기 때문에 실현 가능한 프로젝트였다고 건축가 표응석 교수는 밝힌다. 도심내의 수직형 공장이라는 새로운 형식의 건축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는 것, 기존의 공장건축이 가지는 단조로운 이미지를 탈피하여 공장건축 또한 현대적이고 도심의 컨텍스트에 부합되는 경관 창출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 프로젝트다.




Architect 표응석

Location 157-13,14,16, Gwangan-dong, Suyeong-gu, Busan, Republic of Korea

Use Automobile related facilities, garage

Site area 666.70m2

Building area 397.25m2

Total Floor area Floors_ 2,480.78m2, basement_308.19m2

Landscape area 103.98m2

Bldg. coverage ratio 59.58%

Gross floor ratio 372.09%

Building scope F8

Structure Steel frame

Exterior finish Aluminum composited panel/SST perforated plate

Interior finish Tempered tile, paint

Construction period 2016. 1 - 12

Project architect Pyo Eung seok

Collaborator GEM Design Group (working drawing,construction supervision)

Construction Deogyang Construction

Client RASHNU

Photographer Yoon Joonhwan


표응석_ 홍익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프랑스 파리 국립건축5대학 (Ecole National d‘Architecture de Paris La Defense.)에서 건축학석사를 마쳤으며, 2001년 프랑스 공인건축사(Architecte DPLG.)자격을 획득하였다. ATLIER D’ARCHITECTURE DEFRAIN-SOUQUET, (주) 유일엔지니어링, 건축사 사무소 GA디자인 등을 거쳐 현재 동서대학교 건축설계학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작품으로 울주군 다가구주택, 기장군 다중주택 등이 있다.



해당 프로젝트는 건축문화 5월호(Vol. 432)에 게재 되었습니다.

The project was published in the May issue of the magazine (Vol. 432)




'Architecture Project > Commerci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ngyuan Qianxun Community Center  (0) 2017.08.07
Stage  (0) 2017.07.11
Thumb-up Building  (0) 2017.07.10
ASSEMCORE/ TUNE PLANNING  (0) 2017.01.11
TWO COURTYARDS HOUSE + BRIDGE 130 CAFE/ LEE.HAAN. ARCHITECS  (0) 2017.01.11


마실와이드 | 등록번호 : 서울, 아03630 | 등록일자 : 2015년 03월 11일 | 마실와이드 | 발행ㆍ편집인 : 김명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지희 | 발행소 :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로8길 45-8 1층 | 발행일자 : 매일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