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Yoon Joonhwan


SIYEONJAE is a house which has a visual and spatial connectivity with the Hanok Village and nature being a backdrop of the house. Eunpyeong Hanok Village is residential area where a Hanok residential complex is coexisted with detached housing complex. Surrounded by Mt. Bukhan mountain hikers often visit the area weekdays and weekends, and also visitors who with to see the Hanok village exist. The Hanok village and general housing area are separated by a pathway, though they constitute one village. It is like a test bed, how new Hanok buildings should be in harmony with various types of modern structures. 


ⓒ Yoon Joonhwan


The shape of the area is fan and square. Since a road is not far from the house, it does not ensure private life by eyes from outside. Also, as three generations are living in the single house the project was needed to have independence.


ⓒ Yoon Joonhwan


Considering securement independence of interior space and visual connectivity the site with landscape westside, the mass was separated. Separated masses were filled with programs. In order to secure residential independence of two separated masses from outside, another mass was put. This mass acts as a pathway linking between other two masses. The house has a general residential ‘ㄷ’-shape of Hanok, and the mass acting as a wall has a hidden courtyard being visually connected with nature. And minimized openings to outside and an opening from the courtyard secure independence. 


ⓒ Yoon Joonhwan


Mt. Bukhan which is a backdrop of the house and the shape of the sky that the low skyline makes are symbolic presence enchanting visitors. By including borrowed scenery that is one of the traditional landscaping spatial elements, contrasting elements was added in terms of seeing the backdrop of the house. Psychological change via visual and spatial contrast creates a sensation. The shape of the courtyard from a living room through the pathway where eyes from outside are blocked, a roof garden relating to an attic which can be seen through a narrow staircase that is obstructed by the attic, the sky from a sunken garden at basement made by a mass void, and various types of openings when you move vertically and horizontally inspire you like looking at paintings in the various forms in an art museum.


The shape of the house is simple, ‘ㄷ’-shape. Pine-boardpattern exposed concrete which is the main material and matches the purity and honesty of the nature is representation of the magnificence of the nature and the vertical shape of the mountain by arranging the pattern vertically. And stone panels overcame the limitation of exposed concrete which makes the program boring and was used as a symbolic material of a program for a guest house. 


ⓒ Yoon Joonhwan


Eunpyeong Hanok Village is new housing complex where Hanok is coexisting with general houses. Since Hanok has an unified sensation with respect to materials Hanok looks likes a single housing complex, though the other side general housing complex looks like a typical housing complex. Because of differentiation of building owners and architects, structures with various shapes are jumbled up. Therefore, SIYEONJAE tried to maintain the identity of Hanok and make the life of all generation living in the house closer to the nature by absorbing the natural environment in the site visually and spatially.


ⓒ Yoon Joonhwan


시연재는 주택의 배경이 되는 자연, 한옥마을과 시각적·공간적 연계성을 가진 집이다. 은평 한옥마을은 한옥주거단지와 일반 단독주택지가 공존하는 주택지이다. 주위로는 북한산이 둘러싸고 있어 평일 및 주말에도 등산객이 빈번히 방문하고 한옥마을을 보러 오는 관광객들도 있다. 한옥마을과 일반 주택지가 길 하나로 나뉘어져 있지만 하나의 마을을 구성하고 있는 이 주택 단지는 마치 여러 형태의 현대 건축물과 새롭게 생기는 한옥의 조화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가 고민하는 시험 무대 같아 보인다. 


ⓒ Yoon Joonhwan


시연재는 주택의 배경이 되는 자연, 한옥마을과 시각적·공간적 연계성을 가진 집이다. 은평 한옥마을은 한옥주거단지와 일반 단독주택지가 공존하는 주택지이다. 주위로는 북한산이 둘러싸고 있어 평일 및 주말에도 등산객이 빈번히 방문하고 한옥마을을 보러 오는 관광객들도 있다. 한옥마을과 일반 주택지가 길 하나로 나뉘어져 있지만 하나의 마을을 구성하고 있는 이 주택 단지는 마치 여러 형태의 현대 건축물과 새롭게 생기는 한옥의 조화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가 고민하는 시험 무대 같아 보인다.


대지는 부채꼴 모양의 정방형 필지이다. 도로에서의 깊이를 가지고 있지 못해서 외부의 시선에 대한 사생활 보장이 떨어진다. 그리고 3대가 함께 살고 있는 가족 구성원의 독립성 등 내외부적 공간의 독립성이 필요한 프로젝트였다. 내부적 공간의 독립성 확보 및 서측 자연과 대지와의 시각적 연계성을 고려하여 매스를 분리하였다. 나눠진 매스는 프로그램들로 채워졌다. 이 두 개의 나뉜 매스에서 주변 시선으로부터 주거 공간의 독립성을 확보하기 위해 또 다른 매스를 삽입하였다. 이 매스는 두 개의 매스를 이어주는 복도의 역할을 한다‘. ㄷ’ 모양의 형태를 띤 한옥 주거의 형태와 담의 역할을 하는 매스는 자연과 시각적 연계된 숨은 중정을 가지게 되었다. 그리고 외부로 개구부를 최소화 시키고 중정으로 열린 개구부는 외부로부터의 독립성을 확보하게 된다. 


ⓒ Yoon Joonhwan


주택의 배경이 되는 북한산과 낮은 스카이라인이 만들어내는 하늘의 모습은 이곳을 찾는 사람들을 매료시키는 단지의 상징과도 같은 존재이다. 전통 조경 공간 요소의 하나인 차경을 도입하여 주택의 배경을 바라보는데 있어 대비적 요소를 첨가하였다. 시각적·공간적 대비를 통한 심리적 변화는 감동을 더한다. 외부로부터 시선이 차단되어 복도를 통해 거실로 들어와 보이는 중정의 모습, 다락으로의 진입 시 시각적으로 차단된 좁은 계단을 지나 보여지는 다락과 연계된 옥상정원, 매스의 비움으로 생기는 지하 선큰 가든에서의 하늘, 수직·수평 이동 시 여러 다양한 형태의 개구부는 미술관에서 여러 형태의 액자로 그림을 바라보는 것과 같은 감동을 받게 한다. 


ⓒ Yoon Joonhwan


형태는‘ ㄷ’ 모양의 단순한 형태이다. 여기에 주재료로 쓰인 송판무늬 노출콘크리트는 자연이 가지고 있는 진실하고 순수한 모습과 어울리며 송판무늬를 수직적으로 배열함으로 자연의 웅장함과 산의 수직적인 모습을 표현하였다. 그리고 석재 패널은 자칫 밋밋하면서 지루해 보일 수 있는 주재료인 노출콘크리트의 한계를 탈피하고 게스트 하우스로 쓰일 프로그램상의 상징적 재료로 쓰였다. 


은평 한옥마을은 한옥과 일반 주택이 공존하는 새로운 주택 단지이다. 한옥은 재료적 통일감이 있기 때문에 하나의 단지처럼 보이나 일반 주택 단지는 일반 다른 택지 개발지구의 단지와 같은 모습이다. 건축주의 성향 그리고 건축가의 차이에 있어서 여러 형태의 건축물이 난립하고 있다. 이에 시연재는 한옥마을이 가지고 있는 정체성을 잃어버리지 않고 대지가 가지고 있는 자연 환경을 시각적, 공간적으로 받아들여 주택 안에서 생활하는 가족구성원의 삶을 좀 더 자연과 가깝게 다가가고자 하였다.




DIAGRAM


CROSS SECTION


2nd FLOOR PLAN


1st FLOOR PLAN


BASEMENT FLOOR PLAN



Architect Joung Moon-Chul_design group collabo

Location Yeonseo-ro 48-gil, Eunpyeong-gu, Seoul, Republic of Korea 

Use House 

Site area 230.00m2 

Building area 114.39m2 

Total Floor area 270.07m2 

Building scope B1, 2F 

Structure RC 

Exterior finish Exposed concrete (pine board pattern), stone panel 

Interior finish Paint coating 

Construction Concreteworkshop 

Photographer Yoon Joonhwan


해당 프로젝트는 건축문화 9월호(Vol. 436)에 게재 되었습니다.

The project was published in the September issue of the magazine (Vol. 436)




'Architecture Project > Single Family'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ungpyungri House  (0) 2017.12.19
House in White  (0) 2017.12.12
POLY HOUSE  (0) 2017.10.09
The Cave  (0) 2017.10.05
Renovation of Captain's House  (0) 2017.09.26


마실와이드 | 등록번호 : 서울, 아03630 | 등록일자 : 2015년 03월 11일 | 마실와이드 | 발행ㆍ편집인 : 김명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지희 | 발행소 :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로8길 45-8 1층 | 발행일자 : 매일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