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ee Hyunjun

 

The architect who encounters the site is attracted not by the superb view of the Seorak, which will be the peak of the scenery or the site itself, but by the huge space that lies between the site and the scenery, transparent and hollow.

 

ⓒ Lee Hyunjun

 

The architect, captivated by the blissful festival of lights created by nature, which change a thousand times a day according to the ourse of the sun, and tens of thousands times in a season, with the sky, clouds, plains and mountains as a backdrop, decides to build a house completely white, the ultimate color that can accommodate all this without hesitation. The architect, who wanted to create a white building that does not change over time, researched domestic as well as foreign materials and construction examples and noticed a material that had been mainly used as an interior material.  In Korea, it is available under the name ‘Hi-Macs’ of ‘L’ company. Despite the attempts of designers to apply to the exterior of buildings over the past years, they were faced with the fundamental problem of becoming tainted by pollution in the air, and had difficulty becoming commercialized.

 

ⓒ Kwak Yoonsuk

 

In the course of discussions between the design team in Paris and the construction team in Seoul, the architect noticed not on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itself, but also how to eliminate the source of material contamination. The architect who discovered that the main cause of contamination is in the flowing down of rainwater, daringly removed the horizontal joints that form when the paneling is applied, thus eliminating parts where water might gather. Furthermore, the exterior wall panel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structure, causing the direction of the rainwater flowing down the slope of the roof to change course from outside to inside. The roof, reminiscent of a chalet in the snowy Alps or a triangular lantern in fairytales, has a 60 degree slope that is rarely used in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 Lee Hyunjun

 

Like the exterior which has undergone a geometric abstraction process, the interior is decorated with monotony so that the use of decoration or interior materials is minimal and the light becomes the main. Depending on external light conditions, the interior changes in appearance like a fairy pitta (bird). Through this space that is like a large white canvas, the artistic inspiration of the ainter, that is the owner, freely flows within the space and light. As for the shape of the site, several levels sequentially extend along the terrain. 


The shape of the building that is seated at an oblique angle relative to the shape of the site is designed to naturally divide the external space into four. There are various external spaces that have their own distinct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direction they face: the courtyard to the south (Nordic style landscape), which draws attention to an open view towards the bottom of the mountain; the eastern garden (Italian secret garden) which feels cozy and secluded by fruit trees, flowering plants and the variance in ground levels; the north garden (Provencal garden), raised 1.2 meters above the other gardens due to the level difference, which will be the backdrop to the indoors with a landscape of simple yet diverse plants; and the west entrance and the parking space.

 

ⓒ Kwak Yoonsuk

 

대지를 접한 건축가는 경치의 종점이 될 설악의 절경도 아니고 건축의 대상이 될 부지 그 자체도 아닌, 부지와 경치 그 사이에 놓인 투명하며 비어 있는 거대한 공간, 바로 그‘ 창공’에 매료되었다. 하늘, 구름, 평원과 산이 배경이 되어, 태양의 움직임에 따라 하루에 수천 가지, 계절 따라 수만 가지로 바뀌는, 이 자연이 만들어내는 황홀한 빛의 잔치에 매료된 건축가는 이 모든 것을 가감 없이 품을 수 있는 궁극의 색. 온전한 하얀색의 집을 짓기로 결정했다.

 

ⓒ Lee Hyunjun

시간이 지나도 변치 않는 하얀색 건물을 만들고 싶었던 건축가는 국내외 재료와 시공사례를 검토하던 가운데, 그동안 내장재로 주로 쓰여왔던 한 재료에 주목하게 된다. 국내에서는 L사의 하이 막스(Hi-Macs)라는 이름으로 시판되고 있는데, 몇 년 전부터 건축 외장에 적용하려는 여러 디자이너들의 시도에도 불구하고 외기에 의한 오염이라는 근본적인 문제에 부딪혀 대중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파리의 설계 팀과 서울의 시공 팀 간의 토론이 오고 가는 과정에서 건축가가 주목한 것은 재료 자체의 특성뿐만 아니라, <그 재료를 오염시키는 원인을 어떻게 제거하는가>였다. 외관을 오염시키는 주원인이 빗물의 흐름에 있다는 점을 간파한 건축가는 패널재를 붙일 때 생기기 마련인 가로 조인트를 과감히 제거하여 물이 고일만 한 부분을 없애 버린 것이다. 또한, 외장 벽체 패널을 구조체에서 완전히 분리해, 지붕 경사면을 따라 내려온 빗물이 외부에서 내부로 흐르게 방향을 바꾸어 버렸다.

 

ⓒ Lee Hyunjun


눈 많은 알프스의 전통건축 샬레가 떠오르기도 하고, 동화 같은 삼각형 랜턴의 모습이 떠오르기도 하는 지붕은 한국의 전통건축에는 거의 쓰지 않았던 60°의 경사를 가진다. 이러한 기하학적 추상화 과정을 거친 외부와 마찬가지로 내부도, 장식이나 내장재 사용을 최대한 절제하고 빛이 주인공이 되도록 단조롭게 꾸며졌다. 외부의 빛 조건에 따라 내부는 팔색조처럼 모습을 변하며 외부와 함께 호흡한다. 마치 거대한 백색의 캔버스와 같은 이 공간을 통해, 화가인 건축주의 예술적 영감이 자유롭게 공간과 빛 속에서 흘러 다니도록 유도했다.

 

ⓒ Lee Hyunjun

대지의 형태는 지형을 따라 여러 개의 단이 순차적으로 이어진다. 대지의 형태에 비해 비스듬한 각도로 안착되는 건물 형태는 자연스럽게 외부공간을 4개로 나누는 역할을 하도록 고안되었다. 산 아래를 향해 시원하게 열린 전망이 강조된 남쪽 마당 (북유럽식 자연 조경), 유실수, 화초와 단 차에 의해 아늑하고 비밀스러운 느낌이 드는 동쪽 가든 (이탈리아 비밀 정원), 단 차에 의해 다른 정원보다 1.2m 높아진, 단순하면서도 다양한 화초의 조경으로 실내에서 배경이 될 북쪽 정원 (프로방스 정원), 서쪽의 진입, 주차공간까지 향에 따라 제각각의 성격을 분명히 가지는 다양한 외부공간이 생긴다.


PLAN


DETAIL


 

Architect AEV Architectures Seoul

Location Inheung-ri, Toseong-myeon, Goseong-gun, Gangwon-do, Republic of Korea
Program Housing
Site area 848m2
Building area 132.02m2
Gross floor area 196.66m2
Building scope 2F
Height 10.83m
Building toland ratio 15.57%
Floor area ratio 23.19%
Structure Bio-Bloc structure, Light weight steel structure
Exterior finish Hi-Macs Panel
Intrior finish Barisol, Water paint on Gypsum board
Design period 2014. 9 - 2015. 5
Construction period 2015. 9 - 2017. 5
Principle architect Lim Woojin
Project architect Kwak Yoonsuk, Jeon Hosung, Kwak Nayean Design team AEV Architectures Seoul

Landscape designer Park Yeonmi
Structural engineer Dawoo structure
Mechanical engineer Daemyong Engineering
Electrical engineer Daemyong Engineering
Construction AEV Architectures Council (Lee Shingeun)
Photographer Kwak Yoonsuk, Lee Hyunjun


해당 프로젝트는 건축문화 10월호(Vol. 437)에 게재 되었습니다.

The project was published in the October issue of the magazine (Vol. 437)




'Architecture Project > Single Family' 카테고리의 다른 글

Yangpyeong Book Box  (0) 2018.01.02
Neungpyungri House  (0) 2017.12.19
SIYEONJA 示然齎 NATURE FRAME  (0) 2017.11.08
POLY HOUSE  (0) 2017.10.09
The Cave  (0) 2017.10.05


마실와이드 | 등록번호 : 서울, 아03630 | 등록일자 : 2015년 03월 11일 | 마실와이드 | 발행ㆍ편집인 : 김명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지희 | 발행소 :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로8길 45-8 1층 | 발행일자 : 매일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