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ee Jae Sung
Scholar’s Family House is a pavilion-like house with private spaces for each of three generations living together in a space made of landscaping and natural materials. The three generations consist of a married couple, who are professors of physics, an old lady, who wants to plant vegetables and trees, and a son who is a college student and raises insects. The architect wanted them to enjoy the dignity of living in a formal scholar’s beautiful house with modern architectural functions and languages.
ⓒ Lee Jae Sung
The site located in a housing complex in a newly developed area of Daejeon. It is a long, rectangular shape in the east and west. There is a 25-story apartment complex about 40m to the north, but the west side of the house faces the road in the housing complex, the east side faces the park, and the south has relatively good views and receives adequate sunshine. The basic layout plan is to divide the external space into three areas with different degrees of privacy, based on a relationship with the city. In addition, the space was arranged to connect the flow of movement and visual axis to the trees, stones, flower beds, and water spaces in the inner space and the garden through the gate, the porch, the inner gate, the living room, the floor, and the deck on the second floor. The western yard, which consists of a lower exposed concrete fence, the garage, finished with gravel concrete, the stone ramp, and a flower bed, are easy to maintain and open to the city so that it is a space to interact with neighbors. After passing the garden in the west, flower beds were created along the fence.
ⓒ Lee Jae Sung
To the east, after passing the floor which was extended from a living room, and a stone figure including a small pool, a yard and vegetable garden for the family were planned. In the yard of the house, a long horizontal geometric roof and a birch wood were planned to screen the apartment in the north. In order to maintain the privacy of each family member and have a place to gather at the same time, the bedrooms were placed at each point of a “T” shaped plane centering on the living room open to the second floor. The form of the house was also planned to represent the life of the family members in an abstract way. The shape of the roof is geometric figure consisting of a quadrangle and triangle reflecting the profession of the owner who taught physics.
ⓒ Lee Jae Sung
The rectangular plate was folded based on the two 7.9m points located in the south and north for the construction of the roof. The roof was changed according to the viewing direction and the location. The west side is an urban house composed of three simple squares symbolizing the family structure of the three generations. The north side is a gentle gable-roofed house and the south and the east sides of the house have different facial expressions like a unique museum. The “promidnading with nature” is a central design concept. It is the sequence of images from the city to the garden as he or she advances through the gate, the front door, and the porch.
ⓒ Lee Jae Sung
Beyond the inner glass gate, the frame-like window captures the landscape of a rock and a maple tree on a small hill in the garden. In the living room, a warm birch wooden panel leads to real birch trees planted in the garden beyond the window. The living room is extended into the outdoor space through the floor located on the south and the east sides. At the end of the deck, which acts like our main floor hall where family and friends can gather, chat, and have meals together while looking at the garden, is a stone figure which includes a small pool so that people can enjoy the cool water, dip their feet, and watch the fish in the summer. Going up the straight stairs from the living room to the second floor, we can see the blue sky and the stars, and the stairs and the windows were planned so that the flower beds on the northwest side could be seen when going down the stairs. The area for the married couple and the area for the son are separated from the open living room up to the second floor and connected to the “scholar’s corridor,” a kind of bridge. The “scholar’s corridor” is a place where the married scholars appreciate the arts and look down into the living room and the scenery on the south side. There are pictures hung on the wall and a low shelf is planned so that sculptures and ceramics can be displayed.
ⓒ Choi Joon Sung
After passing the “scholar’s corridor” and the library, there is a bedroom for the married couple. On the south side of the library, a cool deck open on three sides was planned so that the married couple could have an independent outdoor space to study and to rest. For the son of the owner, his bedroom was plac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married couple’s zone and provided balcony space for butterflies to fly and a storage space for his collection of insects.
ⓒ Lee Jae Sung
소유정은 삼대의 가족이 각자의 프라이버시를 유지하면서 조경과 자연적인 재료로 이루어진 공간에서 만나고 거닐며 사색하는 정자 같은 주택이다. 물리학을 연구하고 가르치는 부부 교수, 채소와 나무를 가꾸고 싶은 노모, 그리고 곤충을 기르는 대학생 아들로 이루어진 4명의 가족에게 과거 선비들의 주거공간에 깃든 삶의 품위를 현대적인 건축의 기능과 어휘로 구현한 아름다운 집에서 누리게 하고자 하였다. 대지는 대전의 신개발지역의 주택단지에 자리잡고 있으며 동서로 긴 사각형의 형태이다. 북측으로 약 40m 거리에 25층 높이의 아파트 단지가 있지만, 주택 단지 내 도로에 면한 서측과 공원에 면한 동측과 남측으로는 비교적 양호한 뷰와 일조 조건을 가지고 있다.
ⓒ Lee Jae Sung
배치의 기본방향은 도시와의 관계에 따라 프라이버시의 정도가 다른 3개의 영역으로 외부공간을 구분하고 나무, 돌, 화단, 수공간, 하늘 등이 대문, 현관, 중문, 창, 거실, 마루, 그리고 2층 데크 등을 통하여 실내와 정원에서 경험할 수 있도록 동선과 시각의 축을 연계하여 공간을 배치하였다. 낮은 노출콘크리트 담, 자갈콘크리트마감 주차장, 석재 진입로, 화단으로 구성된 서측 마당은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도시를 향하여 열려 있어 이웃과 소통하는 공간으로 계획하였다. 서측 마당을 지나면 담장을 따라 화단을 조성하였고, 동측으로 거실에서 확장된 마루와 물확을 지나 가족을 위한 정원과 채소밭을 계획하였다. 주택의 마당에 섰을 때 수평적이고 긴 기하학적 형태의 지붕과 자작나무숲을 조성하여 북측 아파트에 대응하도록 계획하였다. 가족이 함께 모이면서 각자의 프라이버시를 확실히 확보하기 위하여 2층까지 열려 있는 거실을 중심으로 “T”형 평면의 각 정점에 침실을 배치하였다.
ⓒ Lee Jae Sung
주택의 형태 또한 가족 구성원의 삶을 추상적으로 표상하도록 계획하였다. 지붕의 형태는 물리학을 가르치는 건축주의 직업을 고려하여 사각형과 삼각형으로 이루어진 기하학적인 도형으로 구성하였다. 직사각형의 판을 남측과 북측에 위치한 두 개의 7.9m 정점을 기준으로 접어 지붕을 구성함으로써 보는 방향과 위치에 따라 형태가 변화하도록 하였다. 서측 입면은 삼대의 가족 구성을 상징하는 단순한 3개의 사각형으로 구성된 도시주택의 모습이며, 북측 입면은 완만한 박공 지붕의 주택으로, 남측과 동측 입면은 독특한 형태의 미술관같은 모습으로 표정을 달리한다. 도로에서의 입면은 단순한 세 개의 사각형 매스와 작은 창문들로 구성하여 도시적이고 이지적인 이미지를 전달한다. 수평적인 목재 판넬로 마감한 대문을 지나 수직적인 목재 부재로 이루어진 현관문을 열면 바닥 전체에 걸쳐 이어지는 돌의 무늬가 그림처럼 펼쳐진다. 유리 중문 너머 액자 같은 창문은 정원의 작은 언덕에 놓인 바위와 한 그루 단풍나무의 풍경을 담는다. 거실에 들어서면 따스한 자작나무 판넬이 창문 너머 정원에 심어진 실제 자작나무들로 이어진다. 거실은 남측과 동측에 위치한 마루를 통하여 외부공간으로 확장된다.
ⓒ Choi Joon Sung
정원을 바라보며 가족과 친구들이 모여 담소하고 식사를 할 수 있는 우리의 대청마루와 같은 역할을 하는 데크의 끝에는 물확을 계획하여 여름철에 시원한 물소리를 들으며 발을 담그고 물고기들을 바라볼 수 있도록 하였다. 거실에서 2층에 이르는 직선형 계단을 오를 때 푸른 하늘과 별을 바라보고, 내려갈 때는 서북측 화단을 바라볼 수 있도록 계단과 창을 함께 계획하였다. 부부 교수의 영역과 아들의 영역은 2층까지 열린 거실에서 분리되고 일종의 다리인 “학자의 길”로 연결된다. “학자의 길”은 부부학자들이 예술을 감상하며 아래층 거실과 남측 풍경을 바라볼 수 있는 공간이다. 벽면에는 그림들이 전시되며 조각이나 도자기 등을 놓을 수 있도록 낮은 책장을 계획하였다. 학자의 길을 지나면 서재를 거쳐 부부 침실에 이른다. 서재의 남측에는 3면이 열린 시원한 데크가 계획되어 연구와 휴식을 하면서 부부만의 독립된 외부공간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건축주의 아들을 위하여 부부 영역의 반대편에 아들 침실을 배치하였으며, 곤충을 수집하고 기르는 취미를 고려하여 나비를 날릴 수 있는 발코니 공간과 곤충을 수납하는 공간을 마련하였다.
ⓒ Choi Joon Sung
ISOMETRIC FORM AND SPACE
1st FLOOR PLAN
2nd FLOOR PLAN
Architect Choi Joon Sung
Location Bongmyung-dong 1043-2, Yuseong-gu, Daejeon, Republic of Korea
Program Residence
Site area 469㎡
Building area 116㎡
Gross floor area 176.3㎡
Building scope 2F
Building to land ratio 24.9%
Floor area ratio 37.6%
Design period 2015. 2 - 8
Construction period 2015. 11 - 2016. 8
Design team Ongodang
Structure platform wood frame + structural steel
Exterior finishes stucoflex, zink, qblock
Construction Taegun LTD
Photographer Lee Jae Sung, Choi Joon Sung
해당 프로젝트는 건축문화 11월호(Vol. 438)에 게재 되었습니다.
The project was published in the November issue of the magazine (Vol. 438)
'Architecture Project > Single Family' 카테고리의 다른 글
Almost Cube House (0) | 2018.01.15 |
---|---|
HAEORUM VILLAGE HOUSE (0) | 2018.01.10 |
YEO MYEONG JAE (0) | 2018.01.08 |
Pung yu heon (0) | 2018.01.05 |
Les sœurs (0) | 2018.01.03 |
마실와이드 | 등록번호 : 서울, 아03630 | 등록일자 : 2015년 03월 11일 | 마실와이드 | 발행ㆍ편집인 : 김명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지희 | 발행소 :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로8길 45-8 1층 | 발행일자 : 매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