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hangmuk Kim


We cannot see the distant landscape. The only things we can see are the façades of buildings surrounding the site. So, we see the fragmented images of the interior that are viewable through the window frame. There is the material of the wall next door, the shape of the window, the trees in the front garden, and the gutter coming down the wall and fence. Due to the nature of the day care center, the windows must be kept at a suitable height, for safety. 


ⓒ Changmuk Kim


Thus, the windows are monotonous and embody a contradiction: they are not at the children’s eye level so they cannot look outside. Therefore, we made partial various windows to capture different images. The target site is a hidden by a separate access road between the multiplex housing units near the Naebang subway station. The building is removed from the road and surrounded by two- to- five- storymultiplex housing structures, so the façade material needed to be distinctive. We used white stones, which contrast with the surrounding buildings, and partial- point coloring so the building would be distinctive. A narrow but unique entrance was used to construct not only flowerbeds, but also a wall exhibition space for the children. 


ⓒ Changmuk Kim


Also, a long canopy was installed so that the children could pass under it in rainy weather. The porch connects to the entrance road and opens onto two floors, offering a sense of openness in the narrow space. The fence surrounding the building is made of wood to provide a sense of security for the children; the space between the building and the fence is an alleyway. The floor is mainly comprised of nursery rooms. A stairway leads to a rooftop playground, a space where children can create large and small windows to the world and enjoy visual entertainment. 


ⓒ Changmuk Kim


This day care center is subject to a barrier-free (BF) system, so elevators and toilets for the disabled are needed and the proper width and area of the corridors and stairways must be maintained. Since this building is not large and is located in a residential area, the plan for solar access and BF was very difficult to develop. It was important to resolve these issues. A day care center is literally a place for providing children with a residential environment and playground. The planning process for this space had to meet the psychological and physical conditions appropriate for children.


ⓒ Changmuk Kim


가까운 풍경

원경은 바라볼 수 없다. 단지 보이는 것은 대지를 둘러싼 건물들의 입면뿐이다. 그래서 내부에서는 창문 프레임을 통해 보이는 조각난 이미지를 본다. 옆집 벽면의 재질, 창문의 모양, 앞집 정원의 나무들 그리고 담장과 벽을 타고 내려오는 홈통 등이다. 어린이집의 특성상 창문은 안전을 위하여 적정 높이를 유지해야 한다. 그래서 창문들은 단조롭고 아이들의 눈높이로 외부조망을 할 수 없는 모순을 갖는다. 이를 해겨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다양한 창문을 만들어 근접해 있는 다양한 이미지를 담는다. 계획 대지는 내방역 근처 다세대 주거들 사이에 별도의 진입로가 있는 숨어있는 대지이다. 외관은 대지가 도로에서 떨어져 있고 주변은 2~5층의 다세대 주택이 둘러싸고 있기 때문에 인지성이 떨어져 외부에서 쉽게 인식할 수 있는 재료의 선택이 필요했다. 주변 건물들과 대비되어 보일 수 있는 흰색 석재와 부분적으로

포인트 컬러(color)를 사용하여 인지성을 높였다. 


ⓒ Changmuk Kim


좁지만 유일한 접근로는 단지 통행로만이 아닌 화단과 아이들을 위한 벽면 전시 공간을 계획하였고 아이들의 통학을 위한 긴 캐노피를 설치하여 우천 시 보행 공간을 확보하였다. 진입로와 연결되는 현관 부분은 두 개 층을 오픈하여 좁은 진입공간의 개방감을 확보하였다. 건물을 둘러싼 담장은 목재를 사용하여 아이들에게 안정감을 주고 그 사이 공간은 골목길이 된다. 평면은 주로 보육실로 구성되어 있으며 옥상 놀이터로 연결되는 계단은 크고 작은 창문을 만들어 시각적 유희를 즐길 수 있는 놀이공간이 된다. 어린이집은 BF(Barrier-Free)계획을 적용하기 때문에 장애인 엘리베이터와 화장실이 필요하며 복도 및 계단의 적정 폭과 면적을 유지해야한다. 어린이집은 규모가 크지 않고 주로 주거지역에 입지하기 때문에 계획 시 일조권과 BF적용 계획은 많은 어려움을 준다. 결국 이 같은 조건들을 어떻게 잘 풀어내야 하는가가 가장 큰 관건이다. 어린이집은 말 그대로 아이들에게 또 다른 주거 환경과 놀이를 제공해주는 공간이다. 어린이들의 심리적이고 육체적인 조건에 맞는 공간을 구성하는 계획 과정 또한 중요하다.


ELEVATION


FLOOR PLAN




Architect BNJ ARCHITECTS

Location 16, Seocho-Daero 19-gil, Seocho-gu, Seoul, Republic of Korea 

Program Nursery 

Site area 324.00㎡

Building area 157.40㎡

Gross Floor Area 403.49㎡

Building scope 3F

Building to land ratio 48.58% 

Floor area ratio 124.53% 

Design period 2016. 9 - 2017. 5

Construction period 2017. 8 - 2018. 3 

Completion 2018 

Principal architect Hyunah Beak

Project architect Hanjun Jo, Hyunah Lee 

Design team BNJ Architects 

Structural engineer Yejung Engineering 

Mechanical engineer Sojung ENG 

Electrical engineer Chun-il MEC 

Construction Mi-Dam CNC 

Client Seocho-Gu office 

Photographer Changmuk Kim



해당 프로젝트는 건축문화 2018년 9월호(Vol. 448)에 게재 되었습니다.

The project was published in the Sep, 2018 issue of the magazine(Vol. 448).




'Architecture Project > Educ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Lab City CentraleSupelec  (0) 2018.11.26
EERC  (0) 2018.11.07
Maebong Daycare Center  (0) 2018.09.19
Faculty of Architecture and Environmental Design  (0) 2018.08.30
Bamboo Sports Hall for Panyaden International School  (0) 2018.06.20


마실와이드 | 등록번호 : 서울, 아03630 | 등록일자 : 2015년 03월 11일 | 마실와이드 | 발행ㆍ편집인 : 김명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지희 | 발행소 :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로8길 45-8 1층 | 발행일자 : 매일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