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Yong Sun Kim


Daesanjungga and the owner

The owner Daesan Livestock Medicine is a longest-term householder which has had a business with local stock famers for a long time. In Hongseong where cities like Andong and Hoengseong even import cattles from and where livestock industry is famous, a place like trading livestock medicines is same as an inn in a town where all sorts of emotions of local people is going through. The owner’s decision of moving a store that had been at the entrance of Hongseong 5-day big market for a long time should not have been an easy decision. So, the owner want the new building to be in people’s favor.

The Daesanjungga having as meaning of ‘a house where a big mount stays’ was named after the owner’s wish that keeps the tradition of Daesan alive. A concern about the owner’s hope and an the architecture which is able to bear the memories that the Daesan and the local went through together were ironically started from the sentiment in the subconscious of local residents, not from the image of stranger.


ⓒ Yong Sun Kim


Texture of old city Hongseong bearing history 

Hongseong is an old capital where Hongju Eup Sung exists. Local residents that the number of native residents is bigger than the number of alien residents has grown up at the center of the old city seeing a castle and the Choyang-moon that is surrounding the city. Images of stones, shadows, and rough barriers having the sense of age are ones of architectural images of the word, history in their subconscious or deep-rooted. The images of lamination and pattern are the local history of raising an army against Japan and anti-Japanese movement through a rocky period and the implication of tough and quiet period of people who protect their area despite the difficulties.


ⓒ Yong Sun Kim


The street of Hongseong and the facade of Daesanjungga

The Daesanjungga is located from the five-way intersection where the statue of general Kim Jwa jin (born in Hongseong, 1889-1930) exists to the street corner of Hongseong station. At this street of the countryside where people who want to approach a marketplace should pass through, people must see a repeated elevation of a 3~4 story low-rise building surrounded by large signs. If you drive a car along the yellow autumn leaves street where ginkgo trees are distributed rhythmically, you will pass monotonic commercial buildings like turning a metronome on with the beat interval of half note. The Daesanjungga which shows a street corner tries to show people who are approaching by foot or by a car about the fact that this area has the different flow pattern by showing faster beats than neighboring commercial buildings. Splitted like a half note is splitted an eighth note, the mass gives monotonic street elevation having only half notes a variation. Like the split of the mass, a front showwindow and a pattern of structural column on ground level repeat, and detailed glass and brick pattern induce the cheerfulness of the street.


ⓒ Yong Sun Kim


Lost space rooftop of countryside commercial building

Sometimes, there is no waste space of an urban commercial building like boning and eating a cow meticulously. However, commercial building in small town tends to focus on construction of leasing space due to the limitation of leasing price. Since rooftop space is hard to be leased, the space is usually no concern of the owner’s mind. But, for this rooftop where 5-day big market is viewable and local famous Yongbongsan is visible, it is too valuable to let the space for outdoor units of air conditioner and  trashcans of smoking area. At the rooftop of the Daesanjungga like a small town vacant lot, masses surrounding the rooftop generates various space with different expressions. The masses are transformed from the core area to a leasing area, the pagora, and outdoor yard. Inside of a parapet was decorated by bricks, then it looks like the area is surrounded by walls of village and provides a scenic view with a low frame. Therefore, people using this area could enjoy the transferring of inside and outside, and feel the atmosphere of each space.


ⓒ Yong Sun Kim


대산정가와 건축주

건축주 대산가축약품은 오랫동안 이 지역의 축산 농가들과 거래해 온 터줏대감이다. 한우로 유명한 안동, 횡성에서도 소를 가져갈 만큼 축산으로 이름이 있는 홍성에서 가축약품을 거래하는 곳은 지역 민생의 희노애락이 거쳐 가는 마을 주막집과 같은 의미이다. 지금까지 5일장이 서는 홍성 큰 시장 입구에 자리하여 이름을 굳혀온 매장을 새로운 곳으로 옮긴다는 것은 건축주에게 적지 않은 결심이었을 것이다. 그래서인지 건축주는 신사옥이 쉽게 사람들 눈에 들기를 바랐다. ‘ 큰 산이 머무는 집’이라는 뜻의 대산정가는 이러한 건축주의 명맥이 이어지길 바라는 의미에서 지어진 이름이다. 건축주의 바람과 대산가축약품이 품고 온 지역의 세월을 고스란히 옮겨 놓을 수 있는 건축에 대한 고민은 아이러니하게도 낯선 이방인과 같은 이미지가 아닌 지역주민의 잠재의식 속에 있는 정서에서 출발했다.


ⓒ Yong Sun Kim


역사를 품은 구 도시 홍성의 텍스처

홍성은 홍주읍성을 보존하고 있는 고도이다. 외부 인구보다 토박이가 많은 이 지역 주민은 구도심 중심에서 아직 도시를 굽어보고 있는 조양문과 성곽을 보고 자랐다. 세월의 녹이 뭍은 켜켜이 쌓인 돌과 그림자, 그리고 그 거친 장벽의 이미지는 그들의 잠재의식 속에 파고든 역사 또는 뿌리 깊은 이라는 단어의 건축적 이미지 중 하나 일 것이다. 적층과 파형이라는 이미지는 의병, 항일 운동의 중추 역할을 하였던 순탄하지 않았던 이 지역의 역사와,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터를 지켜온 사람들의 조용하고 억센 시간의 함축이다.

1st FLOOR PLAN


홍성의 거리와 대산정가의 입면

대산정가는 백야 김좌진 장군(홍성출신, 1889~1930) 동상이 있는 5거리에서 시작되어 홍성역으로 가는 길목에 있다. 홍성군 동북부 각 지에서 장터로 가기 위해 거쳐야하는 이 시골거리는 커다란 간판에 싸여 있는 나즈막한 3~4층의 반복되는 상가 입면을 마주한다. 은행나무 가로수가 리드미컬하게 반복되는 단풍 진 노란 길을 따라 차를 타고 지나갈 때면 2분음표의 박자간격으로 메트로놈을 반복하여 켜 놓은 듯, 변주 없는 표정의 상가들을 지나게 된다. 길모퉁이를 안내하고 있는 대산정가는 걸어오는, 아니면 차를 타고 오는 사람들에게 주변 상가보다 빠른 박자를 보여주어 이곳이 조금 다른 흐름을 갖게 되는 것을 보여주려한 것이다. 매스는 2분음표의 전면을 8분음표 단위로 나눈 것처럼 분절되어 2분음표 일변도의 가로 입면에 변주를 준다. 매스의 분절과 같이 1층 상가 전면의 쇼윈도우와 구조기둥의 패턴 또한 반복되고 디테일한 유리와 벽돌의 패턴이 거리의 경쾌함을 유도한다.

ELEVATION


시골상가의 잃어버린 공간 옥상

때론 도시상가의 공간은 구석구석 버리는 공간 없이 사용되곤 한다. 그러나 소도시의 상가는 임대가의 한계 때문에 주요 임대공간 조성에 집중하는 편이다. 그래서 옥상이라는 곳은 더더욱 임대와 멀어져 건축주의 관심 밖으로 밀려나곤 한다. 그러나 5일장터가 내려다보이고 멀리 지역의 명산인 용봉산이 보이는 이 상가의 옥상은 그저 에어컨의 실외기와 흡연구역의 휴지통에 주인자리를 내어 주기엔 보석 같은 곳이었다. 대산정가의 옥상은 조그만 마을 공터와 같이 옥상을 둘러싸고 있는 매스들이 각각의 다른 표정으로 공간을 만들어 낸다. 코어의 매스에서 임대기능을 담당하는 매스로, 프레임으로 구성 허체의 파고라와 야외 마당으로 공간이 전이되면서 매스가 허체의 공간으로 변화하는 과정이 이어진다. 파라펫의 안쪽은 벽돌로 마감되어 마치 마을의 담장에 둘러싸여 있는 것처럼 경계를 이루고 풍경의 나지막한 프레임을 제공한다. 그래서 이곳을 이용하는 사람은 실 내.외 공간의 전이를 즐기며 각 공간들이 담아내는 지역 풍경의 정취를 느낄 수 있다.

SECTION

CONCEPT


Architect 윤형진

Location Goam-ri 945, Hongseong, Chungnam, Republic of Korea 

Use Retail shop, office

Site area 730.5m2 

Building area 568.21m2 

Gross floor area 1,901.96m2 

Structure RC

Exterior finish Split Brick, Aluminum, Glass 

Project architect Hyung Jin Choi, Hyun Yong Kim

Construction Daeruk Construction INC. 

Client Daesan Veterinary Pharmacy 

Photographer Yong Sun Kim


윤형진_ 현재 동서울대학교에 재임 중이고, WHR 아키텍츠, 아이앤에이 종합건축사사무소에서 각각 5년의 실무경험이 있다. 미국에서 병원건축을 전공 후 의료시설 속의 휴머니즘을 건축가의 해법으로 풀어내고, 건축이 제공할 수 있는 치유적 환경의 가능성에 대하여 다양한 분야와 접목하여 고민하고 있다.



해당 프로젝트는 건축문화 5월호(Vol. 432)에 게재 되었습니다.

The project was published in the May issue of the magazine (Vol. 432)




'Architecture Project > Offi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Faber Headquarters  (0) 2017.08.22
INTEC  (0) 2017.08.02
Hobak Tower  (0) 2017.06.30
Harim Group Headquarters  (0) 2017.06.27
THE FRIENDLY WALL - G/O ARCHITECTURE  (0) 2017.01.11


마실와이드 | 등록번호 : 서울, 아03630 | 등록일자 : 2015년 03월 11일 | 마실와이드 | 발행ㆍ편집인 : 김명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지희 | 발행소 :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로8길 45-8 1층 | 발행일자 : 매일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