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Yoon Joonhwan


Son Yang-won was a patriot governor who had been jailed for five years after refusing to participate in shrine worship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was killed because of ideological disputes during the Korean War. Also, he is a precious Protestant saint who sacrificed himself with a Christian spirit for people who were suffering from Hansen’s disease (leprosy) and were separated from society. The memorial museum is a “symbolic space” that is constructed to recognize the spirits of Son Yangwon, “resistance,” “sacrifice,” and “reconciliation,” rather than in the form of a stuffy exhibition that displays the legacy and relics of a person.


Space from complexity: Closed space

The circular concrete cylinder that appears to be built by a creature from outdoor space reveals the symbolism of the memorial museum. The cylinder is open toward the sky above and below the water space, but it has a closed nature to protect the memorial space from the busy city. The ramp, which is placed at the starting point of memorial, and the inner concrete corridor are architectural buffers for converting the hustle and bustle of the city into the inner calm of the memorial museum. 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increase the amount of time for a visit so that the monumentality can be increased.

 ⓒ Yoon Joonhwan

 

Separated from the secular world: Lifted volume
Even though the building has a massive concrete volume, it has a solemn monumentality through structural mystery by being embodied as a lifted volume separated from the ground. Son Yang-won didn’t seek profit, and he was a human being living with hope based on heavenly values. This memorial museum was created as a profound monumental feature of “lifted volume” to reach piety with a modern architectural character. The cylinder is supported by scattered circumferences and concrete walls with different textures, which maximize the dramatic effect.

 ⓒ Yoon Joonhwan

 

Integration of perpendicular, diagonal, and curved surfaces: Sloping passage
The three perpendicular exhibition rooms are created by the meeting of a vertical and horizontal plane. They are connected with a diagonal curved passage crossing the curved outside surface. If the cube is complete and static, when looking at the slope from each exhibition room, the contrast among perpendicular volume, diagonal line, and curved surface becomes more apparent, and the diagonal passage is dynamic. The water space and the blue sky are still, whereas the small waves on the water and clouds are dynamic. By radiating a strong smell, Yangwon Son walking the narrow path of his three spirits of resistance, sacrifice, and reconciliation that determined his own life are represented.

 

ⓒ Yoon Joonhwan

 

Integration of exhibition room, symbol, and space: Space exhibition
The exhibition in this memorial museum does not follow the usual display of a common museum or relic exhibition hall. The first room through the narrow and dark passage is a white room symbolizing the “patriotism” of Son Yang-won. This room expresses his opposition to Japanese imperialism for which he was imprisoned. The second room is a rough stone room that symbolizes “human love.” This room reminds one of the hardened and festering skins of those suffering from Hansen’s disease. The last room is a red room that represents agape love and means “heavenly love.” The rough texture and red color depicted on the walls are the core symbol of the memorial museum and they are intended to overlap the Mr. Son’s death and the image of his blood. This is the spatial peak of the memorial museum and it is connected to the bridge across the red room of the middle level, and provides a three-dimensional space to experience. In terms of symbolic exhibiting spaces, this memorial museum is a “monumental space exhibition hall” that embodies three legacies of love in architecture.

 

ⓒ Yoon Joonhwan

손양원이란 인물은 일제 강점기시대 신사참배 거부로 5년 간의 옥고를 치렀고, 한국동란 시기 좌우의 이념적 분쟁 사이에서 죽임을 당한 애국지사이다. 그리고 그는 사회로부터 버림받았던 한센인들과 더불어 투철한 기독교 정신의 삶으로 한 인간의 거룩한 희생정신을 보여준 세계사에서도 찾기 어려울 만큼 귀한 개신교 성자이다. 기념관에서는 한 인물의 유산과 유물을 전시하는 박제된 전시의 형식이 아닌 인간 손양원의‘ 저항’, ‘희생’,‘ 화해’의 세 가지 정신을 세 개의 전시 공간 속에서 인식하도록 구축한‘ 상징적 공간 기념관’ 이다.

 

ⓒ Yoon Joonhwan


번잡(煩雜)으로부터 분리: 갇힌 공간
외부 공간으로부터 닫힌 조형으로 조성된 원형의 콘크리트 실린더는 기념관의 상징성을 잘 드러낸다. 실린더는 위쪽의 하늘과 아래의 수공간 쪽으로는 열려 있지만 분주한 도시로부터는 기념관 공간을 보호하려는 폐쇄성을 동시에 지닌다. 방문의 시작점에서 조성되는 경사로와 내부 콘크리트 복도는 도시의 번잡함을 기념관의 내면적 고요로 전환시키려는 완충적 건축 장치이며, 방문의 시간을 늘려 사색하고 기념성을 증대시키고자 하려는 의도이다.


ⓒ Yoon Joonhwan

 

세속(世俗)으로부터 분리: 들린 볼륨
육중한 콘크리트 볼륨이지만 땅으로부터 분리되어 들린 볼륨으로 구현되면서, 구조적 신비함을 통한 엄숙한 기념성을 지닌다. 손양원은 인간적 영리에는 아랑곳 하지 않고 천상의 가치에 소망을 두며 살다 간 초인적 인물이었다. 이 기념관은 현대 건축의 특성으로 경건함에 도달하기 위해‘ 들린 볼륨’의 심오한 기념적 형상으로 조성했다. 흩뿌려진 원주들과 다른 질감의 콘크리트 구조벽으로 실린더를 지지하며 드라마틱한 효과를 극대화 한다.

 

ⓒ Yoon Joonhwan

 

직각과 대각과 곡면의 통합: 경사 통로
수직면과 수평면이 만나서 구성하는 직각 조형의 세 개 전시실은 그 바깥을 곡면으로 스치듯이 가로지르며 상승하는 대각의 곡면 통로와 연결된다. 큐브가 완결적이고 정적이라면 각 전시실 틈새에서 경사로를 바라보면 직각 볼륨과 대각선과 곡면의 대비는 더욱 뚜렷하며 대각의 통로는 역동적이다. 수공간과 푸른 하늘은 정적(靜的)이지만 그에 반해 물 위의 작은 파랑과 구름은 동적(動的)이다. 이처럼 손양원 지사는 자신의 생애를 결정짓는 세 가지의 삶인 저항, 희생, 화해의 좁은 길을 힘 있게 향기를 발하며 걸어갔다.

 

ⓒ Yoon Joonhwan


전시물과 상징과 공간의 통합: 공간 전시
기념관의 전시방식은 흔한 미술관이나 유물 전시관의 전시를 답습하지 않는다. 좁고 어두운 통로를 거쳐 들어가게 되는 첫 번째 방은 손양원의‘ 나라 사랑’을 상징하는 백색의 방이다. 나라를 사랑하여 일제에 저항하고 투옥된 그를 표현한다. 두 번째 방은‘ 사람 사랑’을 상징하는 거친 돌의 방이다. 굳고 곪아 터진 한센인들의 피부가 연상된다. 마지막 방은 아가페적 사랑을 의미하는 붉은 방으로‘ 하늘 사랑’을 의미한다. 방 벽들에서 묘사된 거친 질감과 붉은 색채는 기념관의 핵심적 상징이며, 손양원의 죽음과 핏빛 이미지가 오버랩 되도록 의도했다. 이곳은 기념관의 공간적 절정이며, 중층의 붉은 방을 가로지르는 브릿지로 긴장되고 입체적인 공간을 체험한다. 공간을 상징화하여 전시한다는 측면에서, 이 기념관은 세 가지 사랑의 유산을
건축에 담아 형상화한‘ 기념적 공간 전시관’이다.

 

SKETCH


SECTION


AXONOMETRIC


1st FLOOR PLAN


2nd FLOOR PLAN


 

Architect Lee Eun-seok (Kyunhee Univ.)
Location 39, Deoksan 4-gil, Chirwon-eup, Haman-gun, Gyeongsangnam-do, Republic of Korea 

Use Culture & gathering facility
Site area 3,656.00m2
Building area 727.15m2
Total floor area 1,240.76m2
Building scope B1, 2F
Structure Reinforced concrete
Exterior finish Euro-form exposed concrete, Cedar exposed concrete
Interior finish Exposed concrete, Paint
Design period 2013. 9 - 2014. 2
Construction period 2014. 5 - 2015. 9
Project architect Lee Eun-seok (Kyunghee Univ.)
Design team Atelier KOMA
Collaborator Structural engineer: SEN STRUCTURAL ENGINEERS CO.,Ltd. & Mechanical engineer: JUSUNG ENG CO.,Ltd.  Electrical engineer: HANGIL ENGINEERING CO.,Ltd. 

Construction Cornerstone Construction Co.,Ltd.
Photographer Yoon Joonhwan



해당 프로젝트는 건축문화 10월호(Vol. 437)에 게재 되었습니다.

The project was published in the October issue of the magazine (Vol. 437)




'Architecture Project > Cultur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PANEUM  (0) 2018.02.20
Lego House  (0) 2018.02.19
Milan 44  (0) 2017.11.03
TIRPITZ  (0) 2017.10.25
School of Alfa Omega  (0) 2017.10.24


마실와이드 | 등록번호 : 서울, 아03630 | 등록일자 : 2015년 03월 11일 | 마실와이드 | 발행ㆍ편집인 : 김명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지희 | 발행소 :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로8길 45-8 1층 | 발행일자 : 매일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