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im Jaeyoun
The glamping site is located at the foot of the mountain, about 15 minutes’ drive from Geoje. The client requested a glamping site on the inclined terrain, with a facility for cafes and residence in the entrance area. To utilize the sloped terrain, we made an embankment with retaining walls, and created space for the facilities on the narrow ground between two retaining walls. The site on top of the transitioning retaining walls is good for viewing the surrounding natural landscape. The client wished for this landscape to be the view from the cafe, and the house for two couples to be a small size with a yard.
ⓒ Kim Jaeyoun
The existing retaining walls built along the boundary of the sloping road are no longer negative artifacts. Here, it works as a relational factor in the architectural solution. The wall obtains a strong image that conquers the power of the earth and is built into the wall of the building. The building, which has to overcome the sloping walls along the road and the double layer of terrain behind the site, is planned to be a structure reminiscent of large rocks such as natural objects between the retaining walls.
ⓒ Kim Jaeyoun
The exterior wall of the building is finished with patterned concrete that connects with the existing retaining wall, and is composed like bricks, a natural material. For circulation, we planned for visitors to enter through the retaining walls or to experience the height of the terrain in a more dramatic way as they climb through the rocks. The distinguishing feature of this site is that you can see the natural environment of the surrounding mountains and the distant city landscape at the same time. By means of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that overcomes the natural terrain, a natural form is created; the depth of the circulation creates an openness, structuring the contradiction of the site into a single architectural form.
ⓒ Kim Jaeyoun
We tried to create a place just like the surrounding nature, an intermediary presence between natural and artificial. Likewise, for the exterior, a natural linear shape was formalized to make a semi-artificial form, and sloping walls of the roof and site overlap each other to create a naturally-sloping rock that blends in with nature. The architecture, which sits on a slope, has a variety of frames containing natural and urban scenery. A frame made by stairs that cuts across nature and architecture; a frame between retaining wall and architecture or between to pieces of architecture; a frame made by the courtyard of a ‘ㄷ’ shaped house; a frame made by a deep eave. As such, the typical elements of architecture (stairs, walls, courtyards, and eaves) do not just play a functional role, but also become a scenery that blends in with their surroundings, inside and out.
ⓒ Kim Jaeyoun
거제 스톤힐
거제시에서 차로 약 15분 거리에 자리한 산기슭에 있는 글램핑장. 건축주는 경사진 지형에 글램핑장을 만들면서 입구 부분에 카페와 거주를 목적으로 하는 시설을 요구했다. 경사지 지형을 활용하고자 옹벽으로 축대를 쌓으면서 옹벽과 옹벽 사이의 좁은 땅에 시설이 들어설 영역이 형성되었다. 과도한 옹벽 위 부지는 주변의 자연풍경을 조망하기 좋았다. 건축주는 이 풍경을 카페에 담기를 원했고, 주택은 두 부부가 주로 있는 집으로 마당이 있는 작은 규모를 원했다. 경사진 도로 경계를 따라 세워진 기존 옹벽은 더 이상 부정적인 인공물이 아니다. 여기서는 건축을 풀어가는 관계적 요소로 작동하게 한다. 옹벽은 땅의 힘을 정복하는 강한 이미지로 건물의 벽으로 건축화 된다. 도로 경계의 경사진 옹벽과 부지 뒤의 2개 층의 지형을 극복해야 하는 건물은 옹벽들 사이에서 자연물 같은 큰 바위를 연상시키는 건축물이 되도록 계획했다. 건물의 외벽은 기존 옹벽과 연계된 문양 콘크리트로 마감하면서 자연재료인 벽돌과 같이 구성했다.
ⓒ Kim Yongsoon
움직임에 있어서도 옹벽들 사이를 관통하면서 진입하거나, 바위를 타고 오르면서 지형의 높이를 더욱 극적인 방법으로 경험하도록 계획되었다. 이 부지의 특징은 주변 산들의 자연환경과 멀리 도시 풍경을 동시에 조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자연 지형을 극복하는 옹벽 구조를 통해 보다 자연적인 형태를 만들고, 동선의 깊이감이 개방성을 만들어서 부지가 지닌 모순을 하나의 건축적 형식으로 구조화한다. 주변 자연과 질적으로 동일한 장소를 만들어, 자연물과 인공물의 중간적인 존재를 만들고자 했다. 외관도 마찬가지로, 자연적인 선형을 형태화 하여 반인공적인 형태가 되고, 지붕과 부지의 경사 옹벽이 서로 겹치면서 자연적인 경사지의 바위 같이 자연과 융합되는 모습을 만들고자 했다. 경사지에 앉혀진 건축은 주변 자연 풍경과 도시 풍경을 담은 다양한 풍경 프레임을 갖고 있다. 건물을 접근하면서 자연과 건축의 사이를 가로지르는 계단이 만드는 프레임, 옹벽과 건축물 사이, 건축물과 건축물 사이의 프레임, ㄷ자 집 마당이 만드는 프레임, 깊은 처마가 만드는 프레임. 이처럼 일반적인 건축의 요소(계단, 벽, 마당, 처마)는 기능적 역할 뿐만 아니라 내부와 외부를 오가면서 주변 환경과 같이 어우러진 풍경이 된다.
SITE PLAN
SECTION
FLOOR PLAN
Architect RiCHUE Architects
Location 92-5, Suyang 1-gil, Geoje-si, Gyeongsangnam-do, Republic of Korea
Program Neighborhood facility, Residence
Site area 6,682㎡
Building area 303.14㎡
Gross floor area 415.18㎡
Builing Scope 2F
Height 9.55m
Building to land ratio 4.53%
Floor area ratio 6.21%
Design period 2016. 3 - 9
Construction period 2016. 7 - 2017. 5
Principal architect Hong Mansik Project architect Kim Yuna, Lim Doyoung
Photographer Kim Jaeyoun, Kim Yongsoon
해당 프로젝트는 건축문화 2018년 2월호(Vol. 441)에 게재 되었습니다.
The project was published in the February, 2018 issue of the magazine (Vol. 441)
'Architecture Project > Single Family' 카테고리의 다른 글
Flipped House (0) | 2018.04.18 |
---|---|
L'Accostee House (0) | 2018.04.17 |
Lockeport Beach House (0) | 2018.03.28 |
Palpan-dong, Remodeling of Detached House (0) | 2018.03.19 |
DODUMJALI HOUSE (0) | 2018.02.06 |
마실와이드 | 등록번호 : 서울, 아03630 | 등록일자 : 2015년 03월 11일 | 마실와이드 | 발행ㆍ편집인 : 김명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지희 | 발행소 :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로8길 45-8 1층 | 발행일자 : 매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