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ho Myeong-hwan


The site is facing mountains and hills on its north and east sides, and it has a gentle slope flowing toward the south and west low valley. 

The access stems from the north road at a height of 6m, and there is a 2m level difference between the road and the south valley. To overcome this level difference, the site is divided into south and north flatlands. For the higher north section, a building and a horizontal grass courtyard are planned, and for the lower south, a vegetable garden with a gentle slope. To offset level differences among these sections, a 1.4m high plinth is constructed with natural stone produced in Yangsan so that the site can make harmony with its surrounding landscape.


ⓒ Cho Myeong-hwan


The floor plan is designed in a T-shape. It makes the north wall work as a boundary between the site and the road. And in terms of circulation, it offers an east-west circulation leading to a bedroom from the entrance as well as a south-north circulation flowing to a living room and a kitchen. These two complete a two-way circulation system which efficiently connects all rooms corresponding to their surrounding environment. Along these two circulations, the space establishes a relationship with outside which changes according to its horizontal, vertical expansion or contraction as well as with its opacity and transparency. After having walked under the north main entrance canopy and passed through a relatively low entry, a 3.9m high east-west main hall appears. The entry opens a view via the south front to the courtyard between the bedroom and the dining room. High windows above the hall let natural light in from the east and south. 


ⓒ Cho Myeong-hwan


The dining room, kitchen, living room make a sequential order from the main hall toward the south, and the circulation among them displays a vertical spatial transformation. Opened toward the east courtyard, the dining room and kitchen are positioned lower than the hall whereas the living room watching the valley at the south end is set higher so that it can appear as the most important space in the house.

Within a seamless spatial flow, this interior composition defines territoriality which changes according to each room’s height and lighting conditions and its way of capturing natural landscape.


ⓒ Cho Myeong-hwan


The house’s appearance is the outcome of architectural intention and adjustments to highlight a sense of unity by integrating the combination of independent volumes with the simplicity of pure volume defined by the shape of its interior space. The room volumes with a different size are arranged to make a T-shape, and an in-between space(courtyard) is inserted between the rooms to create a shading effect so that the independent simplicity of each volume can stand out. These volumes exhibit a sense of consistency through the dynamic continuity of vertical and horizontal surfaces This house presents contrast and harmony between natural landscape and geometrical simplicity, a space transforming along circulation and territoriality corresponding to a transparent space narrative. In terms of form, it expresses a sense of unity through the simplicity and continuity of independent volumes, and in terms of living environment, it builds an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architecture and nature by assigning a unique way of framing the surrounding landscape to each room.


ⓒ Cho Myeong-hwan


이 주택의 대지는 북측과 동측으로 산과 구릉을 면하고 있으며, 남측과 서측 낮은 계곡방향으로 완만한 경사를 가진 지형을 이루고 있다. 대지로의 진입은 북측의 6m 도로에서 가능하며, 북측 도로로부터 대지 남측 계곡 자락에 이르기까지 약 2m의 고저차를 이룬다.

이러한 고저차를 극복하고자 대지를 남측과 북측, 두 부분의 평지로 분할, 조성하여 높은 북측에 건물과 수평 잔디마당을, 낮은 남측에 완만한 경사의 텃밭을 계획하였으며, 각 부분 고저차 극복을 위하여 양산 지역에서 생산되는 자연석을 이용한 1.4m 높이의 전석을 쌓음으로써 주변경관과 조화를 이루고자 하였다.


ⓒ Cho Myeong-hwan


건축의 평면은 T자 형으로 구성하였는데, 이는 건축물 북측벽면이 도로와 주택부지의 경계를 이루고, 동선체계 또한 현관을 중심으로 침실로 이르는 동서방향의 동선, 거실과 주방으로 이루는 남북방향의 동선 등 주변환경에 대응하는 각 실을 효율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두 방향의 동선체계를 구성하기 위함이었다. 각 동선 축을 따라 이동하면서 공간의 수평적, 수직적 확장과 압축, 그리고, 막힘(Opacity)과 뚫림(Transparency)에 의한 외부공간과의 변화하는 관계성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북측 주출입구 캐노피 아래를 지나 상대적으로 낮은 현관을 통과 한 후 높이가 3.9m에 이르는 동서방향의 중앙복도에 이르게 하였는데, 현관에서는 남측 전면에 침실과 식당 사이의 중정공간이 시야에 들어오도록 하였다. 또한, 복도 상부의 고창을 통하여 동측과 남측으로부터 자연채광을 유입하도록 하였다.


ⓒ Cho Myeong-hwan


중앙복도로부터 남측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 식당, 주방, 거실을 연결하는 동선체계에서도 공간의 수직적 변화를 주었는데, 동측 중정으로 열린 식당 및 주방은 중앙 복도공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계획되었으며, 남측 끝에 배치되어 계곡을 향하여 열린 거실공간은 높게 계획함으로써 본 주택에서의 가장 중요한 공간이 되도록 계획하였다.

이와 같이 본 주택의 내부공간 개념은 단절되지 않은 공간의 흐름 속에서 각 부분의 높이 변화와 빛의 변화, 자연경관의 유입 방식에 따라 영역성이 자연스럽게 구성되도록 계획하였다.


ⓒ Cho Myeong-hwan


건축물의 형태는 내부공간의 형상에 따라 형성되는 순수 볼륨의 단순미와, 독립적 볼륨들의 조합을 하나로 연결하여 일체감을 이루고자 하는 건축적 의지의 조정의 결과로 이루어졌다. 각 실의 다양한 크기의 볼륨들을 T자형으로 배열하되, 각 실간의 사잇공간(중정)을 두어 음영을 주어 볼륨의 독립적 단순미를 부각하고자 하였으며, 또한, 이러한 볼륨들은 수직, 수평면의 역동적 연속성을 통하여 통일감을 부여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이 본 주택에서는 자연경관과 기하학적 단순성이 가지는 대비적 조화, 동선 이동에 따라 변화하는 공간, 열린 공간변화를 통한 영역성 부여를 추구하였다.

형태적인 면에서는 독립적 볼륨의 단순미와 연속성에 의한 통일감을 추구하였으며, 주거 환경적으로는 각 실마다의 고유한 방식의 외부경관의 유입을 통하여 자연과 건축공간간의 유기적 관계를 형성하고자 하였다.




SKETCH


1st FLOOR PLANLONGITUDINAL SECTION

CROSS SECTION

Architect 이성호, 이임주

Location Habuk-myeon, Yangsan-si, Gyeongsangnam-do, Republic of Korea 

Use House 

Site area 908m2 

Building area 105.14m2

Total floor area 98.47m2 

Landscape area 728m2 

Bldg. coverage ratio 11.58% 

Gross floor ratio 11.00% 

Building scope F1

Structure Reinforced concrete 

Exterior finish Exposed concrete, stucoflex coating on outside insulation 

Interior finish vinyl type paint, exposed concrete 

Design period 2015. 5 - 2016. 1 

Construction period 2016. 2 - 9 

Design team Yoon Jae-Gyoon(Architect), Kim Bup-jun, Kim Sang-Yeop, Kang Su-kyeong, Kim Hyeong-gyu, Park Sang-Hyeok, Kim Soo-hun 

Collaborator Dae-Sung Structure 

Construction Oh Yoon-an 

Client Kim Tae-Hyeong 

Photographer Cho Myeong-hwan


이성호_ 프랑스공인건축사 (D.P.L.G.Architect) 이성호는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및 파리-벨빌국립고등건축대학을 졸업한 후 파리 ATELIER LAURENT SALOMON 설계사무소에서 설계소장을 역임한 바 있다. 현재 동아대학교 건축학과 교수 및 부산광역시 공공건축가로 활동 중이다.

프랑스에서의 주요 경력으로는 프랑스의 이브리 몰리에르 초등학교, 보비니 인포메이션 퍼빌리언, TCSP 등의 작품에 실무를 담당하였으며, 2005년 귀국 후 준공작품으로는 대구 효현빌딩, 청도어린이전문도서관, 대구광역시의사회관, SMG 부산성소병원, 동아대학교 창업관, 동일타워, H&Y 주택 등이 있다.

2007년 및 2008년에 대구건축작가상을 수상하였고, 2012년 및 2015년 부산국제건축대전 베스트어워드, 2013 부산국제건축대전 완공부문 금상, 2016 부산건축상 올해의 건축가를 수상하였다.

http://blog.naver.com/sldg2012


이임주_ 한국건축사 이임주는 동아대학교 건축공학과를 졸업하였다. 대표작품으로는 부산예술대학, 장유 관동리 g카페, 시랑리 다가구주택, 해운대 중동 상가주택 등이 있으며, ㈜section 솔이엔지/(주)솔건축 대표건축사로 활동 중이다.



해당 프로젝트는 건축문화 5월호(Vol. 432)에 게재 되었습니다.

The project was published in the May issue of the magazine (Vol. 432)




'Architecture Project > Single Family'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let Whymper  (0) 2017.08.01
VOICE  (0) 2017.07.31
House for mother  (0) 2017.06.12
Three Roofs In Kyoto  (0) 2017.06.12
Ex of In House  (0) 2017.06.12


마실와이드 | 등록번호 : 서울, 아03630 | 등록일자 : 2015년 03월 11일 | 마실와이드 | 발행ㆍ편집인 : 김명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지희 | 발행소 :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로8길 45-8 1층 | 발행일자 : 매일













위로가기